고혈압은 전 세계적으로 사망에 가장 큰 기여를 하는 단일 질환으로, 심근경색, 심부전, 뇌졸중 및 만성콩팥병 등의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합니다. 우리나라 성인 3명 중 1명이 고혈압을 앓고 있으며, 적절한 치료를 통해 심뇌혈관질환 발생을 현저히 줄일 수 있습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임상시험, 논문, 연구자료, 식약처 가이드라인 등 공식적이고 근거 있는 자료를 바탕으로 고혈압 낮추는 방법을 효과 순으로 정리했습니다.
1. 가장 효과적인 고혈압 낮추는 방법: 생활습관 개선 프로그램
생활습관을 개선하는 여러가지 방법을 같이 사용했을때 효과가 가장 좋았습니다.
효과
생활습관 개선 프로그램은 수축기 혈압 18.4-19.4mmHg, 이완기 혈압 8.7-9.0mmHg 감소로 가장 큰 효과를 보였습니다. 12주간 운동, 영양교육, 의학상담을 병행한 연구에서 약물 복용 여부와 관계없이 우수한 혈압 강하 효과가 나타났습니다.
근거
경희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에서 수행한 무작위대조군 연구로, 고혈압 환자를 대상으로 한 체계적인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가 입증되었습니다.
2. 복합 약물치료
고혈압 낮추는 방법중에 가장 보편화 된 방법은 약물치료입니다.
3제 복합 약물치료 (ARB + 칼슘차단제 + 이뇨제)
수축기 혈압 15-20mmHg, 이완기 혈압 8-12mmHg 감소 효과를 보입니다. 텔미사르탄, 암로디핀, 히드로클로로티아지드 복합제 임상 3상 시험에서 2제 요법 대비 우월한 혈압 강하 효과와 목표 혈압 도달률이 2배 높게 나타났습니다.
근거
서울대의대 김효수 교수 주도로 국내 28개 기관에서 본태성 고혈압 환자 310명을 대상으로 한 무작위배정, 이중눈가림 임상시험으로 SCI급 국제학술지에 게재되었습니다.
3. 단일 약물치료 (효과 순)
ACE 억제제/ARB
- 수축기 혈압 8-15mmHg, 이완기 혈압 5-10mmHg 감소
- 심부전 사망 감소, 만성 콩팥병 진행 억제, 당뇨병 이환 감소 등 다양한 임상적 이익
- 국내에서 ARB가 1차 치료제로 급부상, 단일 치료제 중 43% 처방
이뇨제
- 수축기 혈압 5-15mmHg, 이완기 혈압 3-8mmHg 감소
- 티아지드계 이뇨제가 JNC8 가이드라인에서 1차 치료제로 권고
칼슘차단제
- 수축기 혈압 5-10mmHg, 이완기 혈압 3-8mmHg 감소
- 부작용이 적고 안전성이 높아 단일 치료제 중 43% 처방
베타차단제
- 수축기 혈압 6-10mmHg, 이완기 혈압 4-8mmHg 감소
- 특별한 적응증이 있는 경우에만 사용 권고
4. 운동요법
고혈압 낮추는 방법 중 운동요법은 꼭 추천되는 방법입니다.
등척성 운동 (플랭크, 월시트)
수축기 혈압 8.24mmHg, 이완기 혈압 4mmHg 감소로 운동 중 가장 효과적입니다. 영국 캔터베리크라이스트처치대 연구팀이 1만6천명 대상 270개 임상시험을 메타분석한 결과입니다.
유산소 운동
- 수축기 혈압 5-15mmHg, 이완기 혈압 4-8mmHg 감소
-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으로 심장병 위험 10-30% 감소
- 주 3-5회, 1회 30분 이상 권고
운동과 스트레칭 병행
운동 후 스트레칭을 추가하면 수축기 혈압 10mmHg 추가 감소 효과가 있습니다. 캐나다 케임브리지 심장병치료센터 연구에서 입증되었습니다.
5. 식이요법
먹는것을 통해서 고혈압 낮추는 방법을 찾고 있는 시도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DASH 식단
수축기 혈압 11mmHg, 이완기 혈압 6mmHg 감소 효과로 식이요법 중 가장 우수합니다. 과일, 채소, 생선을 많이 섭취하고 지방을 적게 섭취하는 식단입니다.
저염식 실천
수축기 혈압 4-6mmHg, 이완기 혈압 2-3mmHg 감소. 하루 소금 섭취를 10g에서 5g으로 줄이면 얻을 수 있는 효과입니다.
6. 기타 생활습관 개선
생활습관 개선은 여러 방법들과 함께 효과적으로 고혈압 낮추는 방법입니다.
체중감량
5kg 감량으로 수축기 혈압 4-6mmHg, 이완기 혈압 2-4mmHg 감소. 표준 체중을 10% 이상 초과하는 고혈압 환자에게 특히 효과적입니다.
금연/절주
- 금연: 수축기 혈압 2-5mmHg, 이완기 혈압 1-3mmHg 감소
- 절주: 수축기 혈압 2-4mmHg, 이완기 혈압 1-2mmHg 감소
치료 권고사항 (2022년 대한고혈압학회 기준)
목표 혈압
- 일반 고혈압: 140/90 mmHg 미만
- 고위험군(심혈관질환, 당뇨병 등): 130/80 mmHg 미만
약물치료 우선순위
- ACE억제제, ARB, 칼슘차단제, 이뇨제 중 선택
- 혈압이 160/100 mmHg 이상이면 처음부터 복합요법 고려
- 2/3 이상 환자에서 2가지 이상 약물 필요
생활습관 권고
모든 고혈압 환자에게 약물치료와 병행하여 생활습관 개선을 반드시 시행해야 합니다.
결론
고혈압 낮추는 방법에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생활습관 개선 프로그램(18-19mmHg 감소)이며, 이어서 3제 복합 약물치료(15-20mmHg 감소), 등척성 운동(8.24mmHg 감소), DASH 식단(11mmHg 감소)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단독 치료보다는 약물치료와 생활습관 개선을 병행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며, 특히 운동, 식이조절, 체중관리를 포함한 포괄적 접근이 중요합니다. 모든 치료법은 임상시험과 메타분석을 통해 효과가 입증되었으며, 환자의 상태와 위험도를 고려하여 개별화된 치료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참고자료
- 성인 고혈압 환자의 치료지침 - 약학정보원 (JNC 8 가이드라인 기초)
-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을 기반으로 - 대한신경과학회지
- 고혈압 관리하는 '7가지 생활 습관' - 순천향대학교 중앙의료원
고혈압 낮추는 식단